일본 차(茶 Tea) 이야기

소품집

일본 다도를 일컫는 용어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되며 그 성격을 잘 나타내는 것이 와비차(侘び茶)이다.

와비(侘, 侘び)란 다도의 근본 이념이자 미의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다도에 사용되기 이전의 와비의 의미는 ‘외롭다’ ‘쓸쓸하다’ ‘초라하다’ 등의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였다.

그러나 차문화에 사용되면서 ‘와비’라는 용어는 그 뜻의 변화를 가져왔다.

외롭고, 쓸쓸하고, 초라하지만 ‘외롭게 느끼지 않고’ ‘쓸쓸하게 느끼지 않고’ ‘초라하게 느끼지 않는’ 의식의 세계로 그 의미가 변화된 것이다.
출처 : 불교평론

일본에서 차에 관한 최초의 문헌은 9세기경에 나타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차도 선불교와 함께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편으로 7세기말 백제가 신라에게 멸망한 후 왕족을 포함한 많은 유민들이 당시 교역과 문화교류가 활발했던 일본으로 대거 망명하면서 융성했던 백제문화와 함께 차를 포함한 불교문화가 전파된 것으로도 추정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차문화는 1191년 불승인 ‘에이사이’(永西, 1141-1215)가 송나라에서 돌아오면서 차씨를 가져와 교토 북서쪽에 있는 고우잔사(高山寺)에 파종할 때까지는 크게 번성하지 못하였다.

신라의 대렴이 중국에서 차씨를 가져와 지리산 부근에 심은 것보다 약 300년이 뒤지는 시기이다.

그 때까지는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차의 양이 워낙 희귀해서 귀족들과 불가에서나 겨우 음용할 수 있는 정도였다고 한다.

 

일본의 차문화가 ‘와비차’라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 데에는 불교의 여러 종파 중에서도 특히 선종의 영향이 컸다.

일본의 차와 선(禪)에서 에이사이(榮西, 1141~1215) 선사는 중요한 인물이다.

차는 견당사(遣唐使)에 의해서 전래되었으나, 견당사 제도가 폐지되면서 문물의 유입 역시 단절되었다.

 

이후 12세기 말 가마쿠라(鎌倉, 1192~1333) 시대에 에이사이가 입송(入宋) 후 임제종 황룡파의 법맥을 계승하고 귀국하면서 차 종자를 가져왔다.

에이사이가 귀국할 당시는 정치적으로는 가마쿠라 초기의 무사정권이 개막되던 불안정한 시기였으며, 종교적으로도 기존 불교계의 부패 등으로 새로운 사상이 요구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때 차와 선종은 무사 계급의 비호를 받으면서 급속하게 성장해 갔다.

그는 차와 일본 전래의 시문, 화예, 건축, 도예 등을 연결시켜 다기, 행다법 등 차문화의 기초를 닦았으며 그의 다도는 자손들에 의해 대대로 계승되었다.

 

다도(茶道) 혹은 차도란 말은 본래 일본에서 유래된 말이다.

검도(劍道), 유도(柔道), 서도(書道) 등에서와같이 기술성과 정신성이 함께 요구되는 분야를 ‘도’라고 칭하는 것은 일본 문화의 한 가지 특색이다.

같은 대상을 한국에서는 검술(劍術), 유술(柔術), 서예(書藝)라고 불러왔고 중국에서라면 검법, 서법이란 표현이 더 익숙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불가에서 수행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던 차에 ‘도’를 붙인 것은 자연스러운 일본식 발상법이라 할 수 있다.

일본 '다도'는 중국과는 다른 위치에 서 있다.

약의 효능이나 음료의 기능이 무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보다는 그 정신적 성격이 강조된다.

일본의 차가 중국의 선불교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에이사이’나 ‘무라다 슈코’, ‘센리큐’ 등이 모두 출가 승려로서 수행방법으로서의 차의 정신적 가치가 일찍부터 ‘일본 다도’의 바탕에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4백여 년 전 센 리큐가 일본 다도의 규칙을 정하면서부터 ‘화경청적(和敬淸寂)’은 일본 다도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어버렸다.

화(和)는 화합을, 경(敬)은 존경을 표현한다.

청(淸)은 차생활의 내면과 외면의 청정을 뜻하며 정(寂)은 번뇌가 없는 고요한 상태를 나타낸다.

‘화’와 ‘경’은 행다(行茶)에 있어서, ‘청’과 ‘적’은 다실과 다기에 대한 차 인의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은 자연스러운 향을 지닌 신선한 녹차를 주로 생산한다.

매우 다양한 녹차가 있지만 국내 소비량이 많아 수출량은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일본차는 연한 녹색을 띠는 파쇄되지 않은 잎으로 되어 있다.

한국과 중국은 주로 덖음차를 즐기는 반면 일본은 찐차를 애용한다.

일본의 다도는 엄격하고 까다롭기 이를 데 없다.

동작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본차는 도(道)가 붙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